2007. 4. 15. 02:43 programing/php

트랙백

트랙백 사용방법

트랙백(Trackback)은 매우 간단한 구조와 원리를 가지고 있는 블로그간 커뮤니케이션 기능입니다.

트랙백이란?

트랙백이란, 쉽게 말씀드려 "내가 작성하는 글을 다른사람에게 알리는 기능"입니다.

B 라는 사람이 A 라는 사람의 글에 대해서 의견을 남기는 방법으로 현재는 그 글에 [덧글]을 적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나 덧글은 장문의 글을 작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데다가, 같은 내용을 내 이글루(블로그)에도 남기고 싶을 때, 다시한번 글을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것이 바로 트랙백 기능 입니다.


트랙백 적용 원리 및 순서

A가 어떤 주제에 대해 글을 올렸다고 생각해 보세요. B라는 사용자가 그 글을 본 후, 그 글에 관련된 글을 자신의 이글루(블로그)에 올리려고 합니다. B는 새글을 쓸 때 새글올리기 하단에 있는 트랙백 주소 라는 항목에 관심을 가졌던 A글의 트랙백 주소를 입력하고 글을 작성합니다.
글을 등록하는 순간에, 그 내용은 자동적으로 서버에 기록이 되어 A 글의 하단 트랙백 항목에 등록되게 됩니다.
트랙백에 등록되면 A를 포함한 A이글루(블로그)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이 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글루스에서 트랙백 사용하기

1. 각 글의 트랙백주소 및 트랙백 보기


2. 새글 작성시 트랙백 주소 입력
※ 이글루스의 트랙백 프로토콜은 국제규격을 따르며 다른 블로그 툴간의 호환이 완벽하게 지원됩니다. 이글루스와 Movable Type, pMachine, Nucleus, B2 Blog 등의 트랙백을 지원하는 모든 블로그 프로그램에 트랙백 핑을 보내거나 해당 블로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트랙백 핑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궁금한 사항은 webmaster@egloos.com 으로 메일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자스

  

"...서초동 신덕자씨 USB에 덮어쓰다 최신 소스 날려먹어..."
 
위와 같은 일을 막고 좀 더 체계적인 소스관리 및 여러 팀원들간의 공동작업을 위해 태어난 프로그램들이 소스관리 프로그램들입니다.
 
여기에 소개되는 Subversion을 포함한 CVS 또는 Subversion, MS SourceSafe 등의 Source Version 관리 툴들은 리비전만 거듭하며 올리기에는 상당히 쉬워보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쓰는데에는 문제 없을 정도로 쉬울 것이니... 한번 사용해보세요.
 
특히, TortoiseSVN 은 프리웨어이면서도, 자신이 단독으로 간단한 소스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여유가 있거나,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실 때 개인적으로 사용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단...단순히 Commit & Update만 하는 사용방법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으나, Branch 및 기타 기능을 사용하려면 기능 및 소스관리 정책에 대한 스터디가 필요합니다. 안그러면 귀중한 소스를 날려먹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관리는 사람이 하는것이며, 이 툴들은 도와주기만 할 뿐입니다. (큰 도움이지만..ㅋㅋ )
사람이 관리를 잘못하면 아무리 좋은 버전관리툴이라도 소스를 날려먹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실무에서는 100 개의 회사 중 99개의 회사는 이런 소스관리툴을 서버로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니, 실무대비도할 겸 한번 사용해보세요.
 
아. -_- 질문은 안받겠습니다. 직접 인터넷에서 서핑해서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시길...ㅋㅋㅋㅋㅋㅋ
(검색어: CVS, Subversion, MS Sourcesafe, 버전관리 등.. )
 
 

버전 관리 프로그램인 SVN (Subversion)을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VN 에 대해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네이버나 기타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해보시면 관련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CVS 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보니 CVS 와 사용법에 있어서 기초적인 것은 같습니다.)
Posted by 자스

p3p는 흔히 그 이름(Platform for Privacy Preference)보다 이 아이콘으로 더욱 친근하게 알려져 있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MicroSoft Internet Explorer 6.0이상의 버젼에서는 p3p정책에 따라 쿠키사용권한
문제로 로그인이 안되는경우가 있습니다.
저 금지마크처럼. 사이트에서 쿠키를 친절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p3p입니다.
특정 웹사이트에서 접속할때. 그 사이트에서 헤더에 p3p정보(이 사이트에서는 쿠키를 어떻게 씁네다~)라고 하는 정보가 없으면 개인정보보호정책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비교대상에서 내려버리죠..

비교대상에서 내려버리면. 그 사이트에서 나오는 모든 쿠키를 막아버리고. 그 결과 쿠키 기반으로 인증하는 시스템이나 쿠키 기반의 파일 다운로드 인증 시스템(리퍼러 체크)등을 모두 막아버리게 되어 웹사이트가 병신이 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물론 저걸 더블클릭해서 허용해줌을 체크하면(흔히 하는 해결법이죠)되긴 됩니다만. 그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닌데다. 저것조차 어려워서 못 하는 사람이 이세상에는 깔리고 깔렸습니다.


1. 아파치라면 재컴파일해서 헤더.c인가에다가 p3p정보를 처박아주면 됨
2. IIS라면 간단하게 헤더에 추가만 해주면 됨
3. 둘다 건드릴 수 없는 상황이면 그냥 간단하게 웹페이지 디스플레이 헤더에서 가장 먼저 p3p정보를 보내주면 됨.
입니다.

ex)서로 다른 도메인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의 사이트 경우
IE6에서 쿠키가 적용되지 않더군요.
이유는 IE6에서는 P3P라는 정책을 도입했기때문이라던데
다른 사이트 참고해보니까 해결 방법으로 두가지를 제시해주더군요.
apache를 재컴파일해서 설정하는 방법과
프로그램 소스에서 직접 헤더정보를 보내주는 방법입니다.

후자의 경우 PHP에서는 다음과 같이 header()함수를 통해서 해주면 되더군요.

header('P3P: CP="NOI CURa ADMa DEVa TAIa OUR DELa BUS IND PHY ONL UNI COM NAV INT DEM PRE"');

※ 다른 헤더정보가 보내지기 이전에 위와같이 써주어야함.

Posted by 자스
선언하지 않고 클래스의 함수(메소드)를 불러올 때 씁니다.
보통 초기화나 계산이 필요없는 단순 출력 함수를 부를 때 씁니다.

$oSvc = &zSvc::instance();
$oSvc->proc();

손논지 오래됐두만 이런것도 있었넹~~
Posted by 자스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자스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